대학내일
오늘도 기분에 상관없이 싹싹해야 했나요?
비슷한 고충을 겪는 영화 속 캐릭터
<오, 여정: 봄>
출연: 이소희 / 72초 TV

“혹시… 졸리세요…?”
“안 좋은 일 있으신 거 아니죠?”
“차분하시네요… 좀 우울한 것 같기도 하고….”
이 예의 바른 디스들은 내가 지금까지 면접에서 들었던 말들이다. 내 느릿한 말투, 높낮이 없는 목소리, 멍한 표정 때문이다. 녹음기 틀어 놓은 것 같다는 소리도 들은 적 있으니 말 다했다.
“저 기분 되게 좋습니다!”라고 해봤자 한껏 낮은 도의 음정은 숨길 수 없었다. 내 사회성… 내 긍정 에너지… 너무 작아서 귀여워. 깨끗하게 맑게 자신 있게 면접을 보는 다른 지원자들을 보며 배알이 살포시 뒤틀리던 날들이었다.
72초 TV <오, 여정: 봄>의 주인공 ‘여정’도 비슷한 이유로 고충을 겪는다. 회사에서 잘 어울리지 못하고 자꾸 겉돌기만 한다. 회식 자리에서 누가 갑자기 삼행시라도 시키면 재치 있게 답하지도, 웃어 넘기지도 못해 갑분싸가 되고 만다. 여정은 이 때문에 혼자 있을 때 삼행시를 연습해보는 짠한 습관까지 생긴다.
눈치를 보고,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감을 느끼고, 뒷걸음 치고, 한숨 쉬고, 숨고, 질질 짜는 날들. 그런 날들은 차진 찰떡 같아서 목구멍에 걸려 잘 넘어가지 않았다.
결국 여정은 퇴사를 한다. 혼자 이곳저곳을 여행하던 여정은 경주로 간다. 혼자 가는 여행이 그렇듯 주로 별일이 없다. 걷고 먹고 자기의 반복. 똥꼬발랄한 브금을 깐 청춘 드라마 같은 즐거움은 없다. 누군가와 얘기할 때도 까르륵 꺅 물개 박수를 칠 만큼 재미있지 않다.

특히 ‘젊고 파릇한’ 20대라면 언제나 조금 들떠 있고 인생 신나는 게 당연하게 여겨진다. 필요 이상으로 웃고, 지나치게 예의 바르고, 기분에 상관없이 싹싹해서 “허헛, 이 친구 사람 참 좋네” 하는 말을 감사히 들어야 하는 날들. 웃는 건 일이다. 내 소듕한 안면 근육과 들숨, 날숨, 특히 감정을 써야 하는 일. 당연히 내 생사의 멱살을 잡고 요리조리 흔드는 면접관 같은 사람 앞에선 엄청나게, 일이다.
그런 거라면 나는 아예 일로만 받아들이고 싶다. 공과 사 구분해서 깔끔하게 비즈니스로만. ‘나는 왜 이렇게 우울할까, 왜 사냐 증말’ 하는 자괴감까지 연결 짓지 말고. 스스로에게 웃지 않을 자유도 주면서. 물론 나도 면접을 보게 된다면 웃어보려고 노력할 것이다. 잘 안 되겠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난 좋은 사람이니까, 사람 좋아 보이는 건 좀 못 해도 상관없겠지.

[860호 - culture letter]
Writer 빵떡씨 instagram @choihj906
#오여정#영화#에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