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내일
청룡의 해 맞이, 캠퍼스 속 용 조각상5
어디 학교 용이 제일 멋있나요?
2024년 갑진년 청룡의 해가 밝았다. 한국 신화에 따르면 용이 되는 방법은 지난하기 그지없다. 이무기가 도를 닦아서 여의주를 얻어야 용이 되고, 500년을 산 뱀이 비늘이 돋고는 다시 500년을 살아야 용이 된다. 이처럼 용이 되려면 오랜 기간 수련이 필요하기에 초월적인 존재로 그려지는 게 아닐까? 그만큼 비범한 존재라 그런지, 학교에 있는 용 조각상에는 별여별 소문들이 얽혀 있다. 학교 별 용 조각상에 담긴 의미와 재미있는 소문들을 모아 봤다.
중앙대학교 청룡상

한 손에 펜 세 자루를 쥔 청룡이 커다란 구 위에 똬리를 틀고 있다. 설치 당시 구 안에 넣어둔 타임캡슐은 100주년을 맞은 2018년에 공개했다. 개교 50주년을 맞아 완공된 청룡상은 중앙대를 설립한 故 임영신 박사가 학교 부지를 매입할 때 꿈에 나타난 청룡에서 모티브를 얻어 세워졌다.
국민대학교 용두리

백금색의 원은 태양, 두 마리의 용은 각각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로 1년 내내 쉽게 눈에 띄는 별들을 가리키고 있으며 여의주를 감싸고 승천하는 모습은 인생의 길잡이를 뜻한다. 용두리는 설치된 지 30년 만에 공식적인 국민대의 상징이 되었다. 북악의 이미지를 잘 담고 있는 동물을 선정하고자 논의가 길어졌는데, 당시 학교 재단이었던 쌍용의 영향도 없지 않아 보인다.
인하대학교 비룡탑

교내 전설 : 탑 꼭대기의 비룡이 조금씩 돌아간다.
높은 기둥을 둘러싼 돌기둥 네 개는 비룡을 승천시키는 시각적 조형 석주로 대학의 4년 학제를 표현한다. 솔밭 속에 놓인 꽃잎 모양의 사방석은 대화와 결속, 세계로 뻗어가는 대학의 웅지를 나타낸다. 비룡은 인하대학교의 소재지인 용현동의 옛 지명 용정리 비룡동에서 유래했다. 영웅이 때를 얻어 권세를 누린다는 비룡승운의 의미와 같이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전남대학교 용봉탑

교내 전설 : 용봉탑 꼭대기의 봉황이 동쪽을 보면 길조, 달을 바라보면 좋을 일이 생긴다.
청동으로 된 3개의 기둥이 꾸불거리며 올라가는 모양은 용이 용트림하며 승천하는 모습을, 맨 꼭대기의 봉황 형상은 용봉인들이 웅장한 뜻을 갖고 창공을 비상하는 느낌을 표현했다. 2020년 노후된 봉황을 복원하고, 수명이 다한 원작 봉황은 전남대 박물관으로 옮겨져 영구 보존 중이다.
청동으로 된 3개의 기둥이 꾸불거리며 올라가는 모양은 용이 용트림하며 승천하는 모습을, 맨 꼭대기의 봉황 형상은 용봉인들이 웅장한 뜻을 갖고 창공을 비상하는 느낌을 표현했다. 2020년 노후된 봉황을 복원하고, 수명이 다한 원작 봉황은 전남대 박물관으로 옮겨져 영구 보존 중이다.
경기대학교 귀룡상

교내 전설 : 귀룡 연못에는 실제로 거북이가 노닐고 있다.
<별주부전> 등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거북이는 지혜, 끈기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거북이가 구백 년을 살면 머리는 용, 몸체는 거북이인 귀룡이 되어 승천할 수 있다고 한다. 무한한 가능성과 저력을 가지고 넓은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경기인들을 지구본을 타고 앉은 귀룡의 역동적인 모습으로 형상화했다.
<별주부전> 등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거북이는 지혜, 끈기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거북이가 구백 년을 살면 머리는 용, 몸체는 거북이인 귀룡이 되어 승천할 수 있다고 한다. 무한한 가능성과 저력을 가지고 넓은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경기인들을 지구본을 타고 앉은 귀룡의 역동적인 모습으로 형상화했다.
Campus Editor 송수빈
#캠퍼스#조각상#교내 전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