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내일
강단에서 카메라 앞으로, 유튜브 하는 교수님 6
몰컴하다 마주치면 머쓱;
뉴미디어 시대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닌 2025년!
자신의 전공 지식을
보다 많은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혹은 취미로
유튜브를 운영하는 교수님들이 늘고 있다는데?
유튜브 알고리즘에 불쑥불쑥 등장해
강의 시간에 몰컴하는 우리를
심히 당혹스럽게 만드는
교수님들의 유튜브 채널을 모아봤다.
숙명여자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권우성 교수님의
ASMR '양자점 이야기'

한 번쯤 알고리즘에서 마주쳤을 숙명여자대학교 권우성 교수님의 ASMR 영상! 교수님의 애장품인 숙명여자대학교 마스코트 인형 탭핑부터, 23년도 노벨 화학상 수상과 관련된 이론 정리까지! 교수님의 팅글 가득한 목소리에 중간에 잠들어버렸다고 증언하는 댓글들이 가득하다.
해당 ASMR의 조회수가 폭발한 후, 숙명여자대학교 유튜브 팀은 학교 교수님들을 섭외하여 다양한 ASMR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찍고 있다고.

컨텐츠를 찍게 된 내막과 찐 비하인드가 알고 싶다면 본지에 실린 '숙명여대에서는 교수님이 ASMR을 합니다' 기사를 참고해 보자!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이현정 교수님의
'이교수의 책과 사람'

비문학, 문학 등 다양한 장르의 책을 가리지 않고 학생들에게 소개해 주시는 북튜버, 서울대학교 이현정 교수님! 채널명처럼 책과 사람에 대해 이야기하는 유튜브 채널이다. 다들 알고 있지만 쉽게 도전하지 못하는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에 대한 소개도 겸하고 있다고.
꼼꼼하고 친절한 교수님의 설명에 책을 읽으며 알지 못했거나 놓쳤던 부분 부분을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온화한 교수님 목소리에 힐링은 덤.
<학생 리포터의 추천 영상>

문예창작과에 재학 중인 리포터가 제일 인상 깊게 본 영상은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의 [흰] 해석'. 한강 작가의 문학적 세계에 대한 설명뿐 아니라 소설 속 '흰'의 상징성을 토대로 한 자세한 해설까지 알 수 있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남택진 임상 외래 교수님의
‘치과 일타 dr. 꼬집’

안녕, 한 번쯤은 날 들어 봤겠지? 너의 사랑니~♫ 사랑니로 고생하고 있을, 그리고 충치 자주 생기는 대학생들 주목! 연세대학교 남택진 교수님의 '치과일타 Dr. 꼬집' 채널에서 꿀팁 얻어가자고~
치아 치료 과정에 대한 영상뿐 아니라 치과 진료를 받은 뒤 차후 경과를 살펴볼 때 어느 부분에 주의해야 하는지, 치과에 가서 한 번쯤은 해 봤을 '치아 본뜨기' 방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등등 치아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이다.
<학생 리포터의 추천 영상>

몇 년 전 고생하며 치아 교정을 한 리포터! 해당 채널의 '치아 재교정 얼마나 걸려요? 재교정 기간부터 유지장치, 치과 선택 TIP까지!' 영상을 통해 치아 유지장치 관련 팁을 얻었다고. (교정 했던 사람은 공감할 것이다. 유지장치 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밤마다 귀찮아서 안 끼게 되는 것을. 하지만 잘 끼라고 하시니 이제부턴...)
한양대학교 창의 융합교육원 장동선 전임교수님의
‘장동선의 궁금한 뇌’

요새 에디터는 감정이 오락가락한다. 작은 일에도 화가 나고, 할 일이 많은 날에는 모든 것을 회피한 채 잠만 자고 싶다. 도대체 왜 그런가 했더니만, SNS 중독이기 때문이라고. 이 사실을 어떻게 알았냐고? 한양대학교 장동선 교수님의 '장동선의 궁금한 뇌' 채널 덕분에!
'한국인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뇌 세포 안의 미토콘드리아로 인해 활기차게 사는 사람들' 등 뇌과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정보들을 전달하고 있는 장동선 교수님의 채널. 뇌 과학을 통해 인생을 긍정적으로 살고 싶다면, 그리고 지인들 사이에서 똑똑한 척 좀 하고 싶다면 해당 채널로 달려가 보자.
<학생 리포터의 추천 영상>

제일 좋았던 영상은 앞에서 서술한 '요즘 세대가 유독 불안하고 감정 제어가 안 되는 이유'. 타인의 SNS를 보고 불안감과 우울감을 느끼는 것이 비단 개인의 감정이 아니라 하나의 사회적 흐름이자 심각한 문제임을 알게 되었다.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유현준 교수님의
‘셜록현준’

셜록 홈즈 아니죠. 셜록 현준, 맞습니다. 다소 지루하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공간과 건축에 대한 내용을 사회 이슈 혹은 영화로 재미있게 풀어내는 홍익대학교 유현준 교수님의 채널 '셜록현준!'
건축과 관련된 내용뿐 아니라 '교수님이 싫어하는 대학생과 감탄하는 대학생의 결정적 차이', 'MZ 세대? 세대가 아니라 시대가 바뀐 겁니다' 등 대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영상 또한 함께 올라온다.
<학생 리포터의 추천 영상>

리포터가 제일 재미있게 본 영상은 공포의 장르 중 하나인 '백룸' 영상 속 공간을 보며, 해당 공간이 인간에게 공포스럽게 느껴지는 이유에 대해 분석하는 '이 공간이 소름 끼치는 이유'. 단순히 공간에 대한 해석뿐 아니라 카메라 비율에 대한 분석도 함께 들어가 감탄하며 본 기억이.
단국대학교 문예창작과 최수웅 교수님의
‘스토리텔링 마스터 양성 캠프’

실제 강의에 사용하는 영상을 무료로 풀어주는 천사가 있다? 네, 여기 천사 실존합니다. 단국대학교 최수웅 교수님의 스토리텔링 마스터 양성 캠프 채널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담은 강의, 영화의 역사와 흐름에 대한 강의, 공포·로맨스 등 장르 서사의 이론에 대한 강의 등등 스토리텔링 관련 직종을 희망한다면 도움 될 만한 영상들이 한가득. 실제 수업에서 사용되는 영상인 만큼, 영화 업계 현직자가 도움을 받았다고 댓글을 달 정도의 퀄리티 또한 보장되어 있다고.
<학생 리포터의 추천 영상>

좀비 영화를 좋아하는 리포터가 제일 흥미로웠던 영상은 '장르서사 이론8: 좀비'. 좀비라는 캐릭터성을 영화 안에 녹여 넣는 방법, 사회에 대한 감독의 시선을 좀비에게 투영한 사례 등등 좀비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알 수 있었다. 좀비 관련 문학 혹은 영상 창작에 도전해 보고 싶다면 꼭 추천해 주고 싶은 강의.
보다 많은 사람을 위해
유튜브라는 레드 오션에
직접 뛰어드신 교수님들!
소개한 유튜브 채널에 방문하여
따스한 봄 햇살과 함께
마음의 양식을 쌓아보는 건 어떨까?

#교수님 #유튜브 #크리에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