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구역이 도서관보다 조용한 이유
왜 흡연 구역이 아닌 다른 곳에서 담배를 피우는 걸까?
궁금한 마음에, 오늘 하루 만큼은 흡연자의 시선으로 캠퍼스를 둘러보기로 결정했다.

11곳의 흡연 구역을 둘러본 결과, 확실히 눈에 띄는 자리보단 구석진 공간에 흡연 구역이 많이 위치해 있었다.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통행로 근처에는 흡연 구역이 거의 없어 찾으러 돌아다니는 과정에서는 담배 냄새를 맡지 못했다. 곳곳에 흡연 구역을 표시해두어 위치를 찾는 게 어렵지 않았지만, 강의실과 조금 거리가 있었다.

학생들이 금연 구역에서 흡연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고, 대부분 지정된 구역 근처에서 흡연을 하고 있었다. 다만, 흡연 구역에 있더라도 흡연 부스 안으로는 잘 들어가지 않는 모습이다. 흡연자 무리끼리 일정 간격을 띄고 있는 걸로 보아 부스 안이 너무 좁아서 인 듯 하다. 실제로 7명 정도 들어가면 꽉찰 크기였다.
흡연 구역을 청소하던 교내 관계자와도 교내 흡연 문제에 대해 짧게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그는 '학생들이 흡연 구역이 아닌 곳에서도 담배를 피운다. 그래도 이해는 된다. 금연 구역을 잘 몰라서 그런 것 같다.'라고 얘기했다. 현장을 계속 관리해 온 사람의 말에는 단순한 비판보다 현실에 대한 이해가 묻어 있었다.
즉, 학생들이 꼭 흡연 구역만 고집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무시하는 건 아니다. 실제로 흡연자들은 흡연 구역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익명을 조건으로 그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서로의 감정이 겹치는 이 복잡한 문제를 풀려면, 단순히 시설을 만드는 데서 멈추지 않고 실제로 그 공간이 잘 쓰이고 있는지, 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 지를 꾸준히 들여다봐야 한다.
아직 교내 규칙과 생활 공간에 익숙하지 않을 새내기들을 위해 캠퍼스 맵을 활용하여 흡연 구역 위치를 안내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실제로 서울시립대, 아주대, 홍익대 등 일부 대학은 학생들이 흡연 구역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캠퍼스 맵을 활용하고 있다.

흡연자들도 마찬가지다. 흡연이 누군가에게는 불편함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적어도 함께 쓰는 공간 안에서는 조금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캠퍼스라는 공간은 결국 다양한 사람들이 섞여 있는 곳이기에 완벽한 해답은 없다. 그래도 서로 덜 불편해지게 조금만 더 배려한다면, 진정 우리가 원하는 모습을 찾을 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