굶주린 청년들이 언제든 부담 없이 식사할 수 있는 곳
청년밥상문간? - 김치찌개, 8년 전 가격인 3천 원 그대로
이미지 출처 : 청년문간 홈페이지
2015년, 한 고시원에서 굶주림 끝에 삶을 달리한 한 청년의 이야기가 계기가 되어 2017년 12월 설립된 ‘청년밥상문간'. ‘청년밥상문간’은 청년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통해 위로와 희망을 전하고자 김치찌개 한 그릇을 단돈 3천 원에 판매하는 곳이다.
청년들이 무료 급식소를 한두 번쯤은 찾을 수 있어도, 계속 오가기는 힘들 것 같다고 생각해 ‘언제든 부담 없이 식사를 하고 갈 수 있는 곳이 필요하다’라는 이문수 가브리엘 신부님의 뜻 아래 문을 열었다.

설립 당시부터 현재까지 계속되는 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7~8년간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는 가격 ‘3천 원’. 청년들이 언제나 부담 없이 식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따뜻한 마음은 점차 퍼져나가 올해로 5개의 지점이 문을 열었다.
📍청년밥상문간 정릉점
📍청년밥상문간 이화여자대학교점
📍청년밥상문간 슬로우 낙성대점
📍청년밥상문간 슬로우 대학로점
📍청년밥상문간 안산점
이 중에서도 ‘슬로우’라는 이름이 붙은 두 지점, 낙성대점과 대학로점은 조금 더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이미지 출처 : 청년문간 홈페이지
이곳은 경계선 지능 청년들이 함께 일하는 곳이다. 청년밥상문간은 순차적으로 모든 지점을 슬로우점으로 전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느린 학습자 청년들이 꿈과 가능성을 키우는 곳' 이것이 슬로우점의 취지이다. 속도는 조금 느릴지 몰라도, 이들이 전하는 진심만큼은 누구보다 깊고 단단하다.
청년밥상문간을 직접 경험하다.
"따뜻한 김치찌개로 손님들에게 마음을 전하고 싶다”라는 청년들의 마음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닿을 수 있기를 바라며 학생 리포터가 직접 그 정성스러운 한 끼의 현장을 방문해 보았다.



이 정도의 손님에 다른 가게라면 두 명으로는 일손이 턱없이 부족했을 테지만, 청년밥상문간은 체계화된 셀프 시스템 덕분에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반찬과 밥, 수저 등은 모두 직접 가져가는 시스템이다. 누구나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추가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콩나물무침이 너무 맛있어 두 번이나 리필했다. 반찬을 먹고 있으니, 5분도 지나지 않아서 김치찌개가 나왔다. 번호표를 불러주면, 김치찌개 또한 직접 자리로 가져가는 방식이다. 흘러넘칠듯한 냄비를 무사히 가져오는 게 관건이다.

맛있는 김치찌개 한상이 완성되었다. 미리 조리되어 나왔기 때문에, 살짝 끓여서 바로 먹으면 된다. 추가로 주문한 스팸 사리와 김치의 조합이 좋았다. 라면 사리는 이븐하게 익었을 때, 콩나물과 함께 먹어주면 된다. 식사를 마친 후 반납은 셀프로 해야 한다. 이후 봉사자분이 자리를 치워 주셨다.
대학생의 관심과 도움이 필요한 청년밥상문간

청년들이 언제나 부담 없이 식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마음에서 시작된 '청년밥상문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