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내일
서울에 이런 기숙사가?!
주거비 걱정 덜어줄 ‘숨은 명소’ 모음 zip
등록금 인상, 물가 상승, 월세 기본 50만원 시대.
대학생의 얇아져 가는 지갑 사정과 다르게 세상 물가는 나날이 올라가고 있다. 많은 대학생이 통학을 위해 부모님과 떨어져 수도권에 자취하지만, 현실은 녹록 않다.
조금이라도 고정 지출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잘 알려지지 않은 수도권 소재 기숙사를 알아봤다.
대학생의 얇아져 가는 지갑 사정과 다르게 세상 물가는 나날이 올라가고 있다. 많은 대학생이 통학을 위해 부모님과 떨어져 수도권에 자취하지만, 현실은 녹록 않다.
조금이라도 고정 지출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잘 알려지지 않은 수도권 소재 기숙사를 알아봤다.
1. 홍제행복기숙사인근 대학교 : 상명대, 서울여자간호대, 명지대

비용(25년 1학기 기준)
2인실(남, 여) 약 33만 원 / 4인실(여) 약 27만 원
※ 단, 보증금 30만 원 및 식비는 별도
위치
홍제역 3호선 버스 10분 거리
선발 요건
1. 사회적 배려 대상자 및 소득 분위
2. 집과 직선거리 및 직전 학기 성적
거주 기간
25년 8월 말 - 26년 2월 초
신청 기간
7월 말 예상(24년도 기준, 7월 29일 ~ 8월 5일까지 신청)
출입 가능 시간
금일 오전 5시 ~ 익일 오전 1시

특징 1. 질 좋고 테이크아웃 가능한 식단
일부 기숙사만 기숙사 내 식당을 운영 중인 가운데, 테이크아웃이 별도로 구성된 기숙사는 홍제행복기숙사가 유일하다. 비록, 식당에서 먹는 것과 다르게 간편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남는 식수를 처리하게 용이해 사생들이 애용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다.
특징 2. 도심 속 산책하기 좋은 곳
특징 2. 도심 속 산책하기 좋은 곳
홍제천과 인왕산은 서대문구 주민이라면 산책을 가는 명소 중 하나다. 홍제천에 있는 "홍제폭포"는 시험기간 멍때리기 좋은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본인이 만약 러닝과 등산을 좋아한다면 홍제행복기숙사를 적극 추천한다.
기숙사 홈페이지 : https://happydorm.or.kr/hongje/ko/index
2. 한국장학재단 대학생 연합생활관
인근 대학교 : 상명대, 농협대, 항공대

비용
6개월 90만 원
*보증금 15만 원 및 식비 별도, 2회 분할 납부 가능
위치
원흥역 3호선 도보 5분거리
선발 요건
1. 은행연합회 추천자
2.주거장학금 지원 대학(원)·지자체 소속/출신
(주거장학금 지원 대학 : 감리교신학대, 강서대, 건국대, 경기대,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농협대, 동국대, 배화여대, 상명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서울여자간호대, 서울한영대, 서일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숙명여대, 숭실대, 이화여대, 중부대, 중앙대, 추계예대, 한국외대, 한양대, 한성대)
거주 기간
2025. 8. 27.(수) ~ 2026. 2. 16.(월) 약 6개월
신청 기간
2025. 7. 28.(월) 09:00 ~ 2025. 8. 11.(월) 23:59
출입 가능 시간
오전 5시 ~ 다음 날 오전 1시 30분

특징 1. 비교적 최근 건설된 신식 기숙사
2017년 3월에 개관되어 연식이 있는 타 기숙사에 비해 신식 기숙사로 알려져 있다. 내부에 이마트24 편의점을 비롯한 쾌적한 환경의 부대시설이 있으며, 사생실 내부도 깔끔한 모습을 갖추고 있다.
특징 2. 저렴한 기숙사 비용
교내 기숙사도 최소 월세 30만 원 이상을 하는 것에 비해 한국장학재단 기숙사는 월 15만 원만 납부하면 된다. 식비와 보증금은 별도나, 월 15만 원이란 비용은 타 기숙사에 비해 매우 저렴하기에 원흥역 인근 대학 재학생이라면 적극 추천한다.
3. 종근당 고촌학사(3호관)
인근 대학교 : 한양대, 건국대

비용
기숙사비 전액 지원
위치
아차산역 도보 5분
선발 요건
1.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자
2. 보호자의 現 주소지가 서울 및 수도권 외 지역인 자
※ 단, 편도 2시간 이상의 통학시간을 요하는 지역(수원, 평택, 안성 등) 거주자는 지원 가능
3. 이수학기 총 평점이 80점 이상인 자 (3.0/4.5기준 이상)
4. 재단에서 실시하는 장학생 행사에 성실히 참여가능한 자
자격제한
1. 4학년(7학기 이상)에 재학 중인 자
2. 학제가 4년 이상인 전공(약학, 건축학 등) 제외
거주 기간
최대 3년 (1년 단위로 재심사)
신청 기간
2025. 6. 30(월) 09:00 ~ 7. 28(월) 15:00

특징 1. 기숙사비 전액 지원
종근당 학사는 매월 수십만 원 내야 하는 기숙사비를 장학금으로 지원해 준다. 거주 기간 동안 공과금 및 보증금 역시 장학금 명목으로 지원해 주며 최대 3년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징 2. 지하철 주변에 분포
특징 2. 지하철 주변에 분포
고촌에 있는 고촌학사를 제외하고 종근당 학사는 1, 2, 4호관까지 서울 곳곳에 존재한다. 특히 4호관의 경우, 2020년에 개관해 신식 기숙사로 알려져 있으며 신길역과 영등포역 사이에 있다. 기숙사 위치가 애매해 고민이라면 종근당 학사를 통해 고민을 해결하는 방법을 적극 추천한다.
이외 알아두면 좋을 기숙사 및 주거 제도
1. 지자체 설립 지역 학사(예 : 충남학사, 충북학사)
비용 : 약 15만 원
거주 형태 : 2인 1실
거주 기간 : 각 학사 홈페이지 참조
※ 충남학사의 경우, 최대 2년까지 가능
위치 : 각 학사 홈페이지 참조
위치 : 각 학사 홈페이지 참조
만약, 교내 기숙사 다음으로 알아볼 곳이 없다면 지역 학사를 꼭 추천한다. 저렴한 월세와 더불어 서울 지역 곳곳에 있다. 예시로 충북학사의 경우, 서서울과 동서울 2곳이나 존재하니 본인이 지방 출신이라면 꼭 찾아보기를 권유한다.
2. LH 기숙사형 청년주택
비용 : 주택마다 다름(보증금을 올려 월세를 낮추는 방안 존재)
거주 형태 : 원룸
거주기간 : 기본 2년, 재계약으로 최대 6년까지 가능
위치 : LH 홈페이지 참조
홈페이지 : https://www.lh.or.kr/menu.es?mid=a10401020300
홈페이지 : https://www.lh.or.kr/menu.es?mid=a10401020300
기숙사는 졸업 후 거주하는 것이 제한된다면, LH 청년주택은 최대 6년까지 거주 가능하다. 서울 지역 곳곳에 위치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LH에서 공급하기에 많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본인이 서울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면 LH 기숙사형 청년주택을 적극 추천한다.
3. 민달팽이 주택협동조합 달팽이집
비용 : 약 20만 원 초반 ~ 40만 원 후반
거주 형태 : 셰어하우스
거주 기간 : 최소 6개월부터 시작
위치 : 민달팽이 협동조합 홈페이지 참조
홈페이지 : https://minsnailcoop.com/
홈페이지 : https://minsnailcoop.com/
민달팽이 협동조합은 청년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다. 이곳에선 비영리 주거모델인 '달팽이집'을 청년들에게 저렴한 시세로 공급하고 있다. 추가로 LH와 SH 등 기관과 협력해 주거 공급에 힘쓰고 있다. 기숙사를 벗어나 저렴한 시세로 자취하고 싶다면 민달팽이 협동조합의 하우스들을 추천한다.

#요즘#월세#장난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