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내일

요즘 대학생들의 연애 소비 방식

지갑은 가벼워도 사랑은 무겁게
빠듯한 돈을 열심히 아끼려고 다짐을 해도,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는 모두 무용지물이 된다. 이처럼 누군가를 좋아하는 마음은 나의 셈을 전부 흐트러뜨려 놓는다.

이 공식은 돈이 부족한 대학생에게도 마찬가지다. 지갑은 가볍지만, 사랑에는 누구보다 열정적인 20대. 과연 요즘 대학생들은 연애에 얼마나 많은 돈을 쓸까? 같이 먹을 때 더 맛있는 음식, 함께 보고 싶은 영화, 자꾸만 선물을 건네고 싶은 간질간질한 마음들은 어떻게 계산되고 있을까.

연애 중인 대학생 남녀 4인을 만나, 데이트 비용을 포함한 요즘 대학생의 연애 소비 방식을 들여다봤다.




김진형, 안양대학교 AI융합학과 | 1년 10개월 연애 (2024. 01. 18 ~ )


한 달 평균 데이트 비용으로 얼마를 쓰시나요?
생일과 같은 기념일이 없을 시 150만원 정도 지출합니다. 데이트는 매주 두 번 정도만 하고 있지만 집이 가까워서 매일 밥 한 끼 정도는 함께 먹거든요. 그래서 매일 식비로 3-4만원, 데이트 하는 날에는 10만원 정도를 쓰고 있어요. 평소 음주나 친목 모임을 그다지 즐기지 않아서 데이트 비용에 가장 많은 돈을 쓰기 때문에 한 달 지출에서 7할은 데이트 비용이 차지합니다.

데이트 비용은 주로 어떻게 마련하나요? 
아직 대학생이다 보니 부모님께 종종 용돈도 받고, 아르바이트도 하며 모아둔 돈을 사용합니다.


데이트 시 주로 지출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식사/카페/취미 생활(영화, 공연 등)/선물/교통비)
식사>취미 생활>선물>카페>교통비 순이에요. 저와 여자친구 둘 다 식사에 매우 진심이기 때문에 식비에 가장 많은 돈을 지출해요. (웃음) 또 스포츠 경기 관람이나 아쿠아리움, 공방 등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활동이나 취미 생활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평소 데이트 비용은 상대와 어떻게 부담하는 편인가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평상시에는 제가 다 사주고 싶어하는 편인데, 이런 방식을 여자친구가 좋아하지 않아서 한쪽이 밥을 사면 다른 한쪽이 커피나 취미 생활에 돈을 쓰고 있어요. 한쪽이 전부 부담하기보다는 서로 번갈아가며 상황과 사정에 맞게 지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데이트 비용이 부담될 때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물론 기념일이 겹쳐서 지출이 크게 발생하는 달에는 비용이 부담으로 느껴질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숨기기 보다는 솔직하게 여자친구와 이야기하려 해요. 제가 부담을 느낄 때는 여자친구가 선뜻 내주고, 여자친구가 그런 상황일 때는 제가 내곤 합니다!


데이트 비용을 더 알차게 쓸 수 있는 나만의 노하우나 팁이 있다면?
저희 커플은 워낙 먹는 걸 좋아해서 이 부분에는 크게 돈을 아끼려 하지 않고, 대신 취미 생활과 같은 놀거리에서 할인이나 혜택을 찾아봐요. 예를 들어 카드사나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할인 혜택이나 생일자 할인 같은 걸 적극 활용합니다. 가끔 인스타그램에 뜨는 게시물을 참고해서 무료 체험 행사나 이벤트가 있는 데이트 장소를 찾아 가보기도 하고요.

아! 저희만의 '단골 카페'를 만들어서 카페에서 제공하는 적립 스탬프를 모으는 것도 한 가지 팁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웃음)




김연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과 | 4년 4개월 연애 (2021. 08. 05 ~ )


한 달 평균 데이트 비용으로 얼마를 쓰시나요?
둘이 합쳐서 대략 60만원 정도 쓰는 것 같아요. 주로 주말마다 데이트를 하곤 하는데, 한 번 만나면 주말 이틀 동안 10~15만원 정도 지출합니다. 한 달 평균 지출에서 20퍼센트를 데이트 비용으로 사용해요.

데이트 비용은 주로 어떻게 마련하나요? 
부모님께 받는 용돈과 각자 학교에서 받는 임금으로 마련합니다. 현재는 둘 다 대학원생이라서 연구실 출근이나 조교 근무로 어느 정도 인건비를 받고 있어요.

데이트 시 주로 지출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식사/카페/취미 생활(영화, 공연 등)/선물/교통비)
식사가 정말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아마 7~80%는 되는 것 같은데. (웃음) 둘 다 먹는 걸 좋아하고, 그렇게 스트레스를 푸는 편이라서요. 그 외에는 카페나 취미 생활(영화, PC방, 노래방, 보드게임 카페, 애견카페)로 지출하는 것 같아요. 카페나 취미 생활은 매주 하는 게 아니라서 그렇게 큰 비중은 아니네요.


평소 데이트 비용은 상대와 어떻게 부담하는 편인가요?
저희는 5:5가 가장 보편적이고, 서로 월급 들어오는 날 맛있는 거 사주는 식이에요. 이 문제에 대해서 크게 생각해본 적은 없는데, 저희가 대학교 저학년때부터 과 동기로 만난 사이어서 항상 상황도 벌이도 비슷했거든요. 수입이 비슷하기 때문에 누가 더 많이 내야 한다는 생각은 만나는 동안 한 번도 해본 적 없어요. 남자친구가 좀 더 많이 먹긴 하니까 저한테 뭘 더 자주 사주긴 하는데, 그 정도면 충분해요. (웃음)

데이트 비용이 부담될 때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둘 다 대학원에 진학하던 시기에, 생활권이 바뀌는 바람에 하던 아르바이트도 그만두게 되면서 별다른 수입이 없던 때가 있었는데요. 그럼에도 데이트 비용이 크게 부담스럽다는 생각은 안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저희 둘 다 원하는 데이트 스타일이 멀리 가거나 거창한 걸 하는 스타일은 아니어서요.

집 근처에서 맛있는 거 먹고, 산책하고, PC방 가거나 노래방 가는 데이트 코스에는 큰 금액이 들지 않잖아요. 가끔 주말 내내 외식하는 게 부담될 정도로 빠듯한 상황이 오면 나머지 한 쪽이 사주거나 좀 더 저렴한 걸 먹는 방식으로 해결했어요.


데이트 비용을 더 알차게 쓸 수 있는 나만의 노하우나 팁이 있다면?
외식 대신 소소하게 같이 요리하기요. 비용도 아낄 수 있고 무엇보다 추억 쌓기 정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저희는 최근에 꽃게를 배송시켜서 집에서 같이 손질하고 쪄먹었어요. 둘 다 처음 해보는 거였는데, 헤매기도 했지만 너무 재밌는 시간이었어요.

데이트는 가볍게 자주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맛있는 걸 먹어도 불편한 사람이랑 같이 있으면 그 맛이 반감되듯이, 좋아하는 사람과는 맛없는 걸 먹어도 ‘그때 그거 진~~~짜 별로였는데’ 하고 웃어 넘길 수 있는 추억이 되거든요. 그래서 좋은 곳을 가는 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




이승훈, 한양대학교 사회학과 | 2년 2개월 연애 (2023. 09.28 ~ )


한 달 평균 데이트 비용으로 얼마를 쓰시나요?
기념일 없는 달을 기준으로 70만원 정도 씁니다. 한 달 지출의 절반쯤 돼요. 주 1~2회 데이트하는데, 서로 사는 지역이 조금 멀다 보니 한 번 만날 때마다 소소하게 시간을 보내기보단 '핫 플레이스' 위주로 다니며 알찬 데이트 코스를 즐기려 합니다.

데이트 비용은 주로 어떤 식으로 마련하나요? 
운이 좋게도 지금까지는 거의 매 학기 장학금을 받고 있어서, 이를 모아두었다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데이트 시 주로 지출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식사/카페/취미 생활(영화, 공연 등)/선물/교통비)
가장 자주, 그리고 많이 지출하는 항목은 아마 식사와 카페일 거예요. 시기마다 제철 음식은 꼭 먹어보려 하고, 맛있는 식당이나 분위기 좋은 카페를 찾아 다니는 것도 좋아하거든요. 그 다음으로 선물과 취미 생활에 비슷하게 지출하는 것 같긴 한데, 사실 항목들 간 지출 금액의 편차가 확연히 크게 나는 건 아니에요.


평소 데이트 비용은 상대와 어떻게 부담하는 편인가요?
비율로만 따지면 저와 여자친구가 각각 7:3 정도요. 그렇다고 딱 잘라 나누진 않고 그때그때 다르긴 하죠. 보통은 더 많이 즐긴 사람이 결제를 맡는 것 같네요. (웃음) 예를 들어 저는 영화 보는 걸 좋아해서 항상 제가 영화 티켓을 사고 먼저 영화 보러 가자고 해요. 또 저는 '밥 파'고 여자친구는 '군것질 파'라서 보통 식비는 제가, 카페는 여자친구가 내고요.

데이트 비용이 부담될 때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아직까지는 딱히 부담이 된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지만, 간혹 기념일이나 여행 등으로 데이트 비용을 많이 쓰게 될 땐 평소 생활에서 드는 개인적인 지출을 줄이려고 합니다. 혼자 있을 때 커피 한 잔 덜 마시고, 술자리 한 번 덜 나가며 차라리 그 돈으로 같이 있을 때 더 재밌게 놀고 싶단 생각이에요.


데이트 비용을 더 알차게 쓸 수 있는 나만의 노하우나 팁이 있다면?
대학생일 때 해볼 수 있는 것들을 최대한 많이 해 보려고 해요. 대체로 그런 건 비용이 덜 드는 것들이거든요. 학교 축제를 즐긴다거나, 교내 활동을 같이 하면서 학교에서 밤을 샌다거나 하는 것들이요.

그리고 대학생 인턴이나 서포터즈, 대외활동을 하다 보면 각종 공연이나 전시 등을 무료로 볼 수 있는 기회가 종종 생기는데, 이런 것들을 잘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에요. 활동을 통해서 스펙도 쌓고, 무료 티켓으로 이색 데이트도 즐겨볼 수 있으니까요.




김수연, 건국대학교 영상학과 | 3년 9개월 연애 (2022. 03. 26 ~ )


한 달 평균 데이트 비용으로 얼마를 쓰시나요?
평균적으로 약 40만원 정도 지출합니다.가계부를 확인해보니 전체 지출 중 데이트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달 10% 내외로 유지되는 편이에요. 현재는 대학을 졸업했지만, 학기 중에는 각자 학업에 집중하느라 일주일에 한 번 주말에만 데이트를 즐겼어요. 보통 저녁 식사와 가벼운 술자리를 함께하는 데이트를 위주로 했어서, 만날 때마다 약 10만 원에서 12만 원 정도 지출했습니다.

데이트 비용은 주로 어떤 식으로 마련하나요? 
성인이 된 이후로 경제적으로 독립해 있었기 때문에 데이트 비용은 모두 아르바이트 수입으로 충당했습니다. 생활비와 주거비까지 스스로 부담해야 했어서 학업과 함께 2~4개의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수입을 마련했어요.

데이트 시 주로 지출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식사/카페/취미 생활(영화, 공연 등)/선물/교통비)
식사>선물>카페>취미 생활>교통비 순이요. 평소 데이트에서는 이 같은 순서로 지출 비중이 형성되지만, 둘 다 여행 다니는 걸 좋아해서 일 년에 한두 번 정도 여행비로 지출하는 금액이 가장 큽니다.


평소 데이트 비용은 상대와 어떻게 부담하는 편인가요?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누는 방식으로 부담합니다. 예를 들어 남자친구가 식사를 사면 제가 카페 비용을 부담하고, 다음 데이트에서는 제가 식사를 사는 식으로 번갈아가며 균형 있게 지출하는 패턴을 유지하고 있어요. 실제 지출 비중을 보면 남자친구가 조금 더 많이 쓰는 편이라, 대략 6:4 정도로 형성되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지금 남자친구 이전의 연애에서) 데이트 비용을 정확히 반반으로 나눠본 적도 있지만, 너무 계산적이고 관계의 온기가 줄어드는 느낌이 들어 지금 연애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데이트 비용이 부담될 때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대학교 졸업을 앞두고 졸업 작품에 집중하느라 아르바이트 시간을 크게 줄이면서 데이트 비용도 부담으로 느껴졌습니다. 남자친구는 괜찮다며 본인이 더 부담하겠다고 했지만, 제 성격상 상대에게만 지출을 맡길 수 없었기 때문에 다른 해결 방법을 찾으려 했어요. 찾은 해결 방법은 블로그 체험단과 협찬을 활용하는 것이었어요. 덕분에 오히려 비용 걱정 없이 새로운 곳을 많이 다닐 수 있어서 데이트의 만족도도 더 높아졌어요.


데이트 비용을 더 알차게 쓸 수 있는 나만의 노하우나 팁이 있다면?
앞서 언급한 체험단 활동을 추천해요. 체험단·협찬을 통해 적은 비용으로도 외식·카페·문화 생활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쓰기 실력을 키우고 '마케팅'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알 수 있기 때문이에요.
 
무엇보다 좋은 점은 포스팅이 하나둘 쌓이면서 데이트의 기록이 추억으로 남는다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 다시 보면 “아, 우리가 이런 곳도 갔었지!” 하고 떠올릴 수 있어서 단순한 기록을 넘어 '우리만의 데이트 발자취'를 남기는 의미 있는 활동이에요.



#연애#데이트#데이트비용
댓글 0
닉네임
비슷한 기사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