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쓰는 20대
성수가 나를 큐레이팅 한다고?
우리가 성수와 사랑에 빠진 "진짜" 이유
성수, 대한민국의 20대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지도 앱에 찍어봤을 동네.
그런데 말이죠, 왜 이렇게들 이 동네에 끌리는 걸까요?
그저 “힙하다”는 말로는 부족한 느낌, 에디터가 전달할게요.
그저 “힙하다”는 말로는 부족한 느낌, 에디터가 전달할게요.
오픈서베이(2025)에 따르면 20대는 '직접 재료를 사서 요리하는 비율이 57.3%로, 간편식·밀키트보다 ‘내 손으로 고른 것’에 더 끌립니다. 단순한 절약이 아닌, 선택 과정에 가치를 두는 '실속 소비'인 것이죠.

-
이 이야기가 어떻게 성수와 연결되느냐고요?
애드유어(2025)의 분석을 보면 답이 나옵니다.
한때 팝업 천국이었던 성수가 이제는
상시 브랜드 스토어와 전시 공간이 밀집한 ‘정착지’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즉, 성수는 많이 보여주고, 대신 골라주는 동네가 된 셈입니다.
직접 탐색하는 재미는 놓치지 않으면서, “여긴 이미 괜찮은 것만 모아놨어”라는 믿음까지 주죠.
그 덕분에 우리는 시간은 줄이고, 경험의 밀도는 높이는 소비를 할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탐색 소비가 성수에서 완성되는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성수의 ‘진짜’ 매력을 하나씩 뜯어볼까요?
① 가성비보다 가심비
성수에선 지갑을 열지 않아도 됩니다.
브랜드 쇼룸, 공간 전시, 포토존…
‘오늘 뭘 샀다’보다 ‘오늘 이런 걸 봤다’는 감정과 무드가 남아요.
여기서의 소비는 물건의 비중보다는 감정인 셈이죠.
그래서 성수는 쇼핑센터보다 감정 충전소에 가깝습니다.
② 선택의 영역을 좁혀주는 큐레이션
성수에 발을 들이는 순간 이미 엄선된 브랜드와 전시가 우리를 맞이합니다.
일일이 비교 검색하는 수고 대신,
“이 동네는 내가 뭘 좋아할지 이미 안다”는 신뢰를 얻습니다.
무언가를 직접 찾아내는 것도 좋지만, 때론 이미 정돈되어 진열된
아름답고 매력적인 것들을 자유롭게 소비하고 싶기도 하니까요.

③ 나를 위한 배경
성수의 카페·팝업은 제품보다 장소성이 콘텐츠입니다.
피드에 올렸을 때 ‘지금 감도’를 완벽히 구현하는 배경,
성수는 라이프스타일을 빌려주고, 그 안에서 우리는 나를 연출합니다.
결국 성수는 내가 고른 공간이 아니라, 나를 대신 골라주는 공간입니다.
여기서 물건보다 더 많이 가져가는 건 ‘나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나는 이런 취향을 가진 사람이야"라는 메시지, 그리고 그걸 즐기는 나 자신이죠.
자, 이 글을 본 당신. 이번 주말, 성수가 당신을 어떻게 ‘골라줄지’ 한번 맡겨보세요.
-
에디터가 직접 가본 성수의 좋은 감도가 궁금하다면?
대학내일 매거진과 연결되는 <느좋 성수 공간 추천>도 보고가!





##성수#대학생#트렌드리포트#2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