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쓰는 20대

하고 싶은 거 다 해보고 살아.

걱정과 불안이 가득한 20대에게: 도전을 도전해봐.

20대, 특히 20대 중반은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

학교에서는 적지 않은 나이,

사회에서는 많지 않은 나이.



불안한 경계선에서 자신이 진정 하고 싶은 걸 억누르고 살아가는 이들이 많다.

'종강하면...', ‘졸업하면...’, ‘취업하면...’ 등

미래 준비를 위해 현실의 삶에 ‘쉼표’를 주는 것에 안일한 경우가 많다.


학교 수업에만 전념했던 필자


필자도 다르지 않았다. 미래에 더 괜찮아질 거라고 상상하며 현실에 주어진 일에만 집중했다.

그러다보니 몸에서 SOS를 보내고 번아웃과 무기력증이 발현됐다,




10분 남짓한 클래식이나 노래에도 쉼표가 필히 등장하는데 

앞으로 몇 십 년을 더 살아야하는 나에게 단 하나의 쉼표도 없었다는 것. 그것을 깨달았다.


‘지금 내가 이렇게 불사지르는 이유가 도대체 뭘까’,

‘지금 내가 행복하지 않는데 이렇게 생활하는 게 진정 내가 바라는 것이었나’


그러면서 생각의 전환을 시도했다. 



‘해보고 싶었던 분야에 도전해보는 것’

​​​​


학업에만 치중한 대학생활에서 하나의 변곡점을 주고 싶었다.

학창시절부터 글쓰기를 좋아하고 칭찬도 받았던 터라 

관련 동아리로, 연극동아리를 선택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그저 호기심으로 지원한 게 다였다.


하지만 그 선택이 큰 터닝포인트가 되었다.



학점을 위해 공부만 하던 사람이,

미래에 대한 불안과 걱정으로 점철되고 있었던 사람이,

공연을 올리기 위해 스텝으로 일을 하고, 연출님과 배우분들과 소통하며 보냈다,

그러면서 현재에 대해 최선을 다하면서도 즐거울 수 있음을 체감하게 되었다.



처음은 가벼운 호기심이었지만,

점점 재미를 알아가고 거기서 오는 성취감은 이루말할 수 없었다.



열심히 하던 걸 좋게 봐주셔서 2학기 연출총괄을 맡게 되었다. 

학업적으로도 중요한 시기여서 고민을 많이 했지만,

쉽게 놓을 수 없던 빛나는 도전이었다,

직접 디렉을 하고 관객분들에게 각색한 연극을 올리고, 메시지를 직접 전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었다.

 

필자가 연출로서 선 연극 <나의 우주에게>

그래서 

그 가능성을 잡고 

과정을 즐겼다.

열정적이었고, 

진심을 쏟아부으며 몰입했다.


그러면서 공연예술분야에서 일을 하는 미래를 상상하기 시작했다.



도전을 두려워했던,

안정적인 루트만 생각했던 한 학생이

좋아하던 것으로부터의 도전을 하고서

앞으로의 일에 대한 걱정과 불안보다는

기대와 원동력을 마주했다.



한 번한 도전을 시발점으로

연이어 선택의 기로에 놓였을 때

도전하는 쪽으로 가고 있다.

도전함으로써 오는 설렘과 얻을 수 있는 경험은

직접 해봐야 성취할 수 있는 것이기에



20대를 보내는 독자들이 이 글을 보고 있다면

도전에 어려워하지 않았으면 한다.

처음이 어렵지만, 거기서 오는 경험은 너무나 값지기에

그리고

무채색이라고 느꼈던 자신의 삶 속에서

하나의 색채를 표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하나의 색채일지라도 자신이란 도화지에 

크나큰 변화를 줄 수 있을지 모르지 않은가?


'호기심'이 '진심'이 될 수 있는 도전... 얼마나 값진가?
#도전
댓글 0개
닉네임
비슷한 기사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