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쓰는 20대

도망쳐온 곳에 낙원은 없다? 하지만 낭만은 있지!

완벽주의 세상에서 찾은 엉성함의 미학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정제된 장면’ 속에서 비교당합니다.
셀카는 필터로, 글은 맞춤법 검사기로, 카페 사진은 색감 보정으로 매끈하게 다듬어져 피드에 올라갑니다.
그런데 묘하게도, 사람들은 그런 완벽함에 오래 머물지 못합니다.
너무 반듯하고, 너무 잘 계산된 장면에는 ‘틈’이 없습니다.
틈이 없으면 숨 쉴 공간도 없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어딘가 엉성한 것들을 보면 왜인지 모르게 마음이 가곤 합니다.

엉성함은 틈을 만들어줍니다.
듀가나디의 삐뚤빼뚤한 그림, 노포의 삐딱한 간판, 오래된 디지털 카메라의 빛 번짐은
우리에게 “여기에선 긴장하지 않아도 돼”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Part 01. 듀가나디
뜌어어어어.... 하기 싫어.... 그래도 해야지
트위터(X) 짤쓸사람 @bdemgmr

여러분은 '듀가나디'라는 캐릭터를 아시나요?
최근 카카오톡 이모티콘 순위에서도 1위를 차지하며 큰 인기를 끌었던 캐릭터인데요,
삐뚤빼뚤한 선으로 그려진 이 강아지 캐릭터는 X(트위터)를 시작으로
많은 2030 세대에게 퍼져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듀가나디를 처음 보면, “이게 뭐지?” 싶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번 보고나면 계속 머릿속에 그 엉성하고 삐뚤빼뚤한 선으로 그려진 강아지의 잔상이 남죠.
더위에 지쳐 녹아내린 모습, 펑펑 우는 모습, 끝없이 쌓인 할 일에 깔려 허덕이는 모습 등
이 캐릭터는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법한 현실적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선이 삐뚤빼뚤하고 색도 고르지 않지만, 오히려 그 엉성함이 더 진짜 같습니다.
그래서 듀가나디를 보면 피식 웃음이 나다가도, 묘하게 마음 한켠이 편안해집니다.
원래 공감을 바탕으로 한 위로가 제일 마음을 편하게 만들어 주는 법이니까요.




Part 02. 레트로 감성
조금 불편해도 아날로그만의 낭만이 있어!



출처 핀터레스트 'urs truly'

4k를 넘어 8k까지 지원되는 세상에 다시 오래된 필름 카메라가 등장했습니다.
소음을 차단해 주는 헤드셋이 나오는 세상에 다시 줄이어폰이 등장했습니다.
곧 아이폰 17이 출시되는 이 시기에 아이폰 6의 공기계 판매량이 급증했습니다.
이유는 바로 '레트로 감성 열풍' 때문인데요.

레트로 감성이 사랑받는 이유는 단순히 ‘옛날 것’이 귀엽고 예뻐서만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오늘날의 기계적 완벽과는 거리가 먼, 인간적인 결함이 담겨 있습니다.
LP 판의 지직거림, 필름 사진의 빛 번짐, 옛 광고의 촌스러운 타이포그래피.
이 모든 것은 최신 기술로는 ‘흠집’이라고 불릴 수 있지만, 
오히려 그 흠집이야말로 사람들의 마음을 붙잡는 이유가 됩니다.


아이폰 7로 찍은 사진
본인 직접 촬영


MZ 세대가 레트로에 끌리는 건 단순히 ‘옛날 것이 귀엽다’는 이유가 아닙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이 기본값인 세상에서 자랐습니다.

사진은 찍자마자 확인할 수 있고, 색감과 구도는 필터 하나로 완벽하게 보정됩니다.

모든 것이 고해상도이고, 오류 없이 매끈하게 돌아갑니다.
하지만 바로 그 완벽함이 우리를 지치게 할 때가 있습니다.

흠집 없는 표면은 편리하지만, 거기에 감정이 스며들 틈은 존재하지 않죠.


아날로그는 다릅니다.

필름 사진은 빛이 과하게 들어가거나 부족해서, 얼굴이 흐릿하게 나오기도 하고, 색이 고르게 표현되지 않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 불완전함이 오히려 그 찰나의 추억을 더 풍성하게 기억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사진 속 빈자리는 기술이 아닌 우리의 상상과 감정으로 채워집니다.

그때 들었던 음악, 손에 닿던 공기, 함께 있던 사람의 표정까지 모든 게 디지털의 무결점 화면보다 훨씬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Part 03. 노포
빛 바랜 메뉴판과 간판... 어디서 고수의 향기 안 나요?




[출처:중앙일보]



노포의 문짝은 삐걱거리고, 메뉴판의 글씨는 반쯤 지워져 있습니다.

손님들이 앉는 의자는 제각각이고, 조명은 어딘가 어둡습니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우리 눈에 이 모습은 최신 인테리어와는 거리가 멉니다.

하지만 바로 그 불완전함 속에서 우리는 묘한 안정감을 느낍니다.


노포는 매 시즌 인테리어를 갈아엎는 트렌드 카페가 아닙니다.

대신, 수십 년 동안 매일 같은 자리에서 손님들을 맞이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가게 구석구석에 배어 있습니다.

벽에 걸린 오래된 사진, 손때 묻은 계산대, 기울어진 액자, 반쯤 바랜 간판까지...

겹겹이 쌓인 시간이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본인 직접 촬영


오래된 것에는 오래된 것만의 내공이 있습니다.
서툴게 보이는 주인의 손놀림 속에도, 수십 년 동안 똑같은 메뉴를 만들어 온 숙련이 숨어 있습니다.
메뉴판에 적힌 단출한 요리들이 결코 단순하지 않은 이유는,
그 속에 반복과 시행착오, 그리고 사람의 마음을 다독이는 기술이 쌓여 있기 때문입니다.
이건 한 번의 유행이나 한 철의 감성으로는 절대 흉내 낼 수 없는 깊이입니다.
수십년의 세월이 만들어낸 깊이가 우리를 감쌀 때,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나를 기다리고 있다는 묘한 안정감이 찾아옵니다.




Part 04. 엉성함의 미학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우리 그냥 다같이 좀 쉬면 안 될까?


완벽주의 사회에서 엉성함은 단순한 ‘태만’이나 ‘부주의’가 아닙니다.


우리는 너무 빠른 속도와 즉각적인 완성도를 강요받는 환경에서 살아갑니다.

하루에도 수십 번씩 새로운 정보가 쏟아지고, 사람들의 취향과 유행은 몇 주 만에 바뀝니다.

이 속도에 끝까지 맞추려 하면 결국 번아웃이라는 벽에 부딪히죠.


그래서 엉성함은 단순한 게으름이 아닙니다.
속도를 늦추고, 숨을 고르며, 자기 리듬을 되찾기 위한 의도적인 선택입니다.
완벽하게 다듬어진 이미지 대신 픽셀이 깨진 사진을,
정형화된 콘텐츠 대신 삐뚤빼뚤한 그림과 손글씨를 고르는 것은
‘뒤처지겠다’는 체념이 아니라
‘남들의 속도와 상관없이 
나만의 속도로 걷겠다’는 선언입니다.


엉성한 것들은 우리에게 말합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충분히 아름다울 수 있다고.
오히려 조금 흔들리고, 비대칭이고, 덜 마무리된 것에서
우리는 
인간적인 온기와 살아있는 이야기를 느낍니다.


완벽함을 향해 달리던 발걸음을 잠시 멈추고, 엉성한 풍경 속에 앉아보세요.
그곳이 낙원은 아닐지라도,
삐뚤고 비대칭한 그 순간들이
당신에게 가장 오래 남는 낭만이 되어줄 테니까요.
#듀가나디#디지털 카메라#노포
댓글 0개
닉네임
비슷한 기사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