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쓰는 20대
내기에서 무조건 이기는 필승 전략
이제 이것만 알면 나도 게임 고수

"왜 항상 나만 걸리는 걸까?"
사실, 사다리에는 숨겨진 법칙이 있다!
이 글을 읽는 대학내일 독자들이라면,
이제 내기에서 절대 걸리지 않을 것이다.

역추적 사용하기
1. 피하고 싶은 결과를 고른다.
2. 그 결과 지점에서 위로 거슬러 올라간다.
3. 도착한 출발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을 선택한다.
2. 그 결과 지점에서 위로 거슬러 올라간다.
3. 도착한 출발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을 선택한다.

정말 이 규칙이 성립할까?
반복 시뮬레이션을 통해
역추적 전략이 효과적인지 실험해보았고,
아래에서 그 결과를 확인해보자.
역추적 전략이 효과적인지 실험해보았고,
아래에서 그 결과를 확인해보자.

*같은 조건(8개의 다리, 12개의 계단, 1,000번 반복)으로 출발지에 따른 결과 분포를 실험해본 결과
실험 결과 (at. 단순한 사다리)
가로줄이 적은 단순 구조에서는
역추적 전략으로 꽝을 피할 확률이 매우 높았다!
역추적 전략으로 꽝을 피할 확률이 매우 높았다!

*계단의 갯수를 10개부터 차츰 늘려가며 350개까지 만들었을때, 1번에서 출발한 도착점 분포
실험 결과 (at. 복잡한 사다리)
가로줄이 300개 이상 많아지면
결과가 고르게 섞여서 확률이 거의 공평해졌다.
(8명 참가 기준 최소 300개 필요)
결과가 고르게 섞여서 확률이 거의 공평해졌다.
(8명 참가 기준 최소 300개 필요)

정리하자면!
가로줄이 많아지면 이 전략을 적용하기 어렵지만,
현실적으로 사타리타기에서 그만큼 줄을 많이 그리기 어렵다.
따라서, 도착점에서 가능한 먼 출발점을 선택한다면
사다리타기 내기에 절대 걸리지 않을 것이다!
현실적으로 사타리타기에서 그만큼 줄을 많이 그리기 어렵다.
따라서, 도착점에서 가능한 먼 출발점을 선택한다면
사다리타기 내기에 절대 걸리지 않을 것이다!
##내기 #꿀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