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쓰는 20대

보드게임 제작기: 텀블벅 성공 후기

???: 게임 만드는 데 2년이나 걸릴 줄은 몰랐어요



나의 사이드 프로젝트는 
🔎

  • 사이드 프로젝트명: 도토리집(Do!tr.zip)
  • 구경하기: TRPG(보드게임) ‘사라진 심장-최후의 피라미드’ 텀블벅 펀딩 링크( 🔗 )
  • 운영 기간: 2023.09~
  • 운영 형태: 팀
  • 투자/지출 비용: (첫 게임 제작 기준) 약 300만 원
  • 운영 수익: 프로젝트 진행 중 - 미발생(게임 재고 판매 완료 기준: 약 30만 원 예상)


프로젝트를 할 때, 나는 어떤 사람? 🙋

  • 대학/전공: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 학년/학번: 3학년/22학번




'도토리집'은 🚀

여러분은 TRPG를 아시나요? TRPG는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이라는 장르인데, 쉽게 말하면 역할극이 가미된 보드게임이에요. ‘도토리집’은 TRPG의 매력을 더 많은 사람에게 전하고 싶어서 모인 프로젝트 팀으로, 입문자도 쉽게 즐길 수 있는 보드게임을 만들고 있어요. 얼마 전 첫 보드게임 펀딩을 마쳤고, 참여해 주신 분들께 선물을 전하기 위해 열심히 제작 중이에요!



(TRPG에서 ‘도토리’는 룰북이나 시나리오, 게임 아이템 등을 구매할 때 쓰이는 포인트 개념의 용어예요. ‘도토리집’이라는 이름은 ‘게임에 필요한 도토리를 모아둔 저장소’라는 뜻과 함께, ‘도토리’ + 압축파일 확장자인 ‘.zip’, 그리고 ‘집’이라는 단어의 중의적인 의미를 담았어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는? 💫

팀을 결성할 당시, 한창 게임에 관심이 많았어요. 학교에서는 e스포츠 동아리 임원으로 모바일 게임을 직접 만들어보기도 했고,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활동은 많이 해봤는데, 실물 보드게임도 한 번쯤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러던 중 좋아하는 밴드 실리카겔과 isvn이라는 팀이 예전에 만든 TRPG 영상을 보게 됐고, ‘나도 만들어봐야겠다!’는 마음이 들었죠. 사실 좋은 팀원들을 만나지 못했다면 감히 시작할 생각조차 못 했을 거예요.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과정은🔥️‍

1️⃣ 팀원 모으기

인스타 스토리에 실리카겔 게임 영상을 올리면서 ‘같이 TRPG 만들 사람~’이라고 썼더니, 주변에 사이드 프로젝트를 좋아하는 친구들이 많아서 그런지 반응이 꽤 좋았어요 ㅋㅋ. 그중 관심을 보인 사람들 중, 예전에 같이 작업했던 독립잡지 편집장 한 명, 밴드 동아리에서 함께했던 무대미술 전공생 두 명, 인디밴드 공연 기획을 같이 하던 친구 한 명까지 총 다섯 명이 모여 팀이 꾸려졌어요. 누군가는 조합이 독특하다고 오합지졸이라 부를지도 모르지만… 저는 ‘어벤져스’라고 부르고 있어요 🔥


2️⃣ 게임 기획

기획만 거의 1년 걸린 것 같아요. 팀원이 만들고 있던 독립잡지의 다음 호 주제가 ‘아즈텍 신화’라서, 그 프리퀄 개념으로 아즈텍 신화를 기반으로 한 게임을 만들어보자는 아이디어가 나왔어요. 콘셉트는 빠르게 잡았지만, 게임을 실제로 어떻게 설계할지가 정말 어려웠어요. 한 번은 게임을 통째로 갈아엎기도 했고, 팀원 중 두 명이 교환학생을 1학기-2학기로 나눠 다녀와서 비대면 회의를 하다 보니 진행이 더뎠던 부분도 있어요. 그래도 결국 다 같이 만족할 수 있는 퀄리티의 게임을 완성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다음에 또 만들게 된다면 이번보다 훨씬 간단한 게임으로 해보고 싶어요. 스토리로는 간단해 보여도, 게임은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해서 테스트 플레이도 여러 번 거쳐야 하거든요.


수많은 테스트 플레이를 거치는 중...

3️⃣ 디자인

저희는 첫 게임을 텀블벅 펀딩으로 내고 싶었기 때문에, 게임에 들어가는 카드와 패키지 디자인은 물론이고 리워드 디자인까지 진행했어요. 두 명이서 맡아 작업했고, 콘셉트가 확정된 뒤 회의를 거치며 방향을 정했어요. 고대 아즈텍 신화에서 사용된 유물이나 벽화를 참고하면서 디자인 콘셉트를 구체화해 나가는 과정이 정말 재미있었어요!

텀블벅 펀딩 전에는 인스타그램에 올릴 홍보물 디자인도 함께 만들었답니다.


SNS에 올린 카드뉴스 이미지


4️⃣ 텀블벅 펀딩 준비

기획과 디자인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자 텀블벅 펀딩 준비를 시작했어요. 텀블벅은 매년 다양한 주제의 기획전을 여는데, 마침 5월에 보드게임 기획전이 열려서 그 시기에 맞춰 소개글과 펀딩 이미지를 준비했어요. 기획전은 오픈 전에 프로젝트 개요와 주제를 바탕으로 신청하고, 선정되면 공개일까지 프로젝트 글을 완성하면 되는데요. 승인 심사는 5일 정도 걸리고, 중간에 보완 요청이 들어올 수도 있어요. 다행히 큰 문제 없이 진행돼서 약 35일간 펀딩을 진행했어요!




프로젝트 홍보 방법은 📢

1️⃣ 텀블벅 기획전

텀블벅 수수료가 높은 플랜을 쓰지 않아도, 기획전 덕분에 텀블벅 메인 페이지에 꾸준히 노출될 수 있었어요.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라면 텀블벅 창작자 가이드에서 예정된 기획전을 꼭 확인해 보세요! 주제에 맞는 기획전이 있다면 꼭 지원해 보시길 추천드려요.


2️⃣ 메타 광고

인스타그램에 올린 홍보물 중 일부를 3~4일간 메타 광고로 돌려봤어요. 하지만 아쉬운 점은 보드게임이 마니아층이 뚜렷한 콘텐츠라 그런지, 메타 광고보다는 보드게임 커뮤니티에 집중해서 홍보했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예산에 홍보비를 따로 책정하지 못해서 광고를 오래 돌리지 못한 것도 아쉬웠고요. 눈에 띄는 성과가 없었던 점이 아쉽게 느껴졌어요.


3️⃣ 보드게임 카페 홍보물 부착

오프라인에서는 팀원끼리 지역을 나눠서 보드게임 카페에 직접 홍보물을 부착했어요. 허가해 주신 사장님들이 꽤 많아서 정말 감사했어요. 이렇게 직접 부딪혀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었어요!


4️⃣ 보드게임 동아리 홍보

대학 내 보드게임 동아리들에 DM을 보내서 단톡방에 홍보 문구를 공유할 수 있었어요. 이 외에도 TRPG·보드게임 관련 온라인 카페에 열심히 홍보글을 올렸답니다.





프로젝트를 운영하면 내가 얻은 것은

프로젝트를 운영하면서 무엇보다 '진짜로 해냈다'는 성취감이 컸어요. 아이디어 단계에서만 머물렀던 것을 직접 현실로 만들어냈다는 게 너무 기뻤고, 팀원들과 함께 열심히 고민하고 작업한 시간이 쌓여서 결과물로 이어졌다는 게 정말 뿌듯했어요. 특히 TRPG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 저희 게임을 재밌게 즐겨주셨을 때 큰 보람을 느꼈어요!



아쉽고 힘들었던 부분은😭

지금 다시 몇 개월 전으로 돌아간다면, 텀블벅 펀딩 시작 전에 전체 홍보 일정을 먼저 정리했을 것 같아요! 게임 기획에 너무 많은 시간을 쏟다 보니 ‘일단 시작하자!’는 마음으로 펀딩을 열었는데, 막상 펀딩이 시작되니 정신없이 바빠서 후반부 홍보를 제대로 못 한 점이 가장 아쉬웠어요. 예산도 좀 더 꼼꼼히 짰어야 했는데, 제작 단가 계산이 어긋난 부분도 있었고요. 프로젝트가 마무리로 갈수록 ‘더 열심히 해야겠다’, ‘후회 없이 끝내자’는 마음이 커졌어요.



'도토리집'의 내일은 🥑

도토리집은 지금 첫 번째 펀딩을 마치고, 게임 제작이 완료되기를 기다리고 있어요. 공장에서 물품을 받으면 빠르게 포장해서 배송을 완료할 계획이에요. 마지막 배송까지 무사히 마치면, 팀원들과 회식도 하고 싶어요! (수익이 나면 수익으로, 아니면 사비로…😅)


그다음엔 각자 본업으로 돌아갔다가, 여유가 생기면 두 번째 게임을 준비해 보려고 해요. 이번에는 특정 아티스트나 브랜드와 협업해서 카드게임을 만들어보고 싶은 마음도 있어요. 첫 번째보다 더 꼼꼼히, 더 즐겁게 준비해서 더 나은 게임을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할게요. 기대해 주세요! 🙌





이런 사람에게 추천 👍

TRPG나 보드게임에 관심이 있고, 아이디어를 실제 결과물로 만들어보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려요!
특히 다양한 전공이나 개성을 가진 사람들과 협업하는 경험을 해보고 싶은 분, 조금 복잡해도 스토리와 세계관 만드는 걸 좋아하는 분이라면 정말 재미있게 참여하실 수 있을 거예요. 실물 제작과 펀딩까지 한 사이클을 경험해 보고 싶은 분께도 적극 추천해요!


이런 사람에게 비추천 👎
정해진 매뉴얼대로만 움직이는 프로젝트를 선호하거나, 긴 기획 과정이 부담스러운 분들께는 조금 힘들 수 있어요.
특히 예상치 못한 변수(팀원 스케줄, 디자인 수정, 단가 문제 등)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걸 어려워하는 분들에겐 맞지 않을 수도 있어요. 마감이 가까워질수록 바빠지기 때문에, 여유로운 일정만을 원하는 분이라면 고민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보드게임#사이드프로젝트#대학생#텀블벅#펀딩
댓글 0
닉네임
비슷한 기사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