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쓰는 20대

CJ ENM 운영 에디터 후기

"드라마랑 예능 좀 좋아한다"라는 덕후라면, 주목!

내가 인턴으로 일 한 기업 🏢

  • 기업명: CJ ENM
  • 직무: CJ ENM 운영 에디터
  • 근무 형태: 계약직
  • 급여: 월 200만 원 + 식비 20만 원
  • 근무 기간: 2024.02 ~ 2024.07
  • 근무 장소: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격주 금요일 휴무)
  • 추천 점수: 4.0 / 5.0
  • 요 업무
    • tvN 드라마, 예능 영상 클립 제목 및 메타 작성
    • tvN 유튜브 채널 콘텐츠 분석
    • tvN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 글 작성


인턴 지원/근무 시 나는 어떤 사람? 🙋

  • 대학/전공: 서강대/미디어&엔터테인먼트학과
  • 학점: 예시) 3.75/4.5
  • 학년/학번: 3학년/22학번
  • 주요 이력
    • 유튜브 채널 '서강하이스쿨' 제작진 활동 (2022.03 ~ 2024.02)
    •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학생회 홍보국원 (2022.03 ~ 2022.08)
    • 서강대학교 전공 행사 기획 (2023.09 ~ 2023.12)




'CJ ENM'에 지원한 이유는 🏷️

예능 PD라는 꿈을 가지고, 관련된 전공에 입학한 만큼 방송국에서 일해보는 것이 저의 오랜 로망이었어요. 이에 여러 방송국의 다양한 직무를 알아보던 중, 타 방송국의 조연출이나 FD 등 다른 직무는 최소 1년 이상 근무해야 하는 곳이 많았습니다. 교환학생에 가기 전, 한 학기 정도 일해보고 싶어 알아보던 중 CJ ENM은 다양한 직무를 3개월 단위로 모집하고 있어 저에게 딱 맞는 조건이라 지원하게 되었어요. 또한 여러 tv 프로그램 중 특히 tvN의 콘텐츠들을 재밌게 본 기억이 있어 더욱 관심이 갔습니다. 운영 에디터 외에도 제작이나 기획 등 여러 직무에서 모집하고 있었으나, 제작과 기획의 경험은 있다 보니 이번에는 다른 직무를 경험하고 싶어 채널을 분석하고 방향성을 구축하는 '운영 에디터'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서류 합격을 이끈 자소서와 포트폴리오 전략은 📌

먼저 지원서에는 '내가 이 기업에 얼마나 관심이 많은가'와 '왜 내가 해당 직무를 잘할 수 있는가'를 녹여 내려고 노력했어요. 여러 방송국 중 왜 CJ ENM 인지를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지금까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직무적합성을 강조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포트폴리오에는 단순히 지금껏 해온 활동들을 나열하기보단, 해당 경험을 통해 어떤 성과를 냈고, 어느 부분에서 성장했으며, 무슨 인사이트를 얻었는지를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저는 1-2학년 모두 교내 활동 위주로 경험을 쌓아 특별한 경력은 없었는데요. 그럼에도 지금까지의 활동들을 통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잘 담아내어 좋은 결과가 있을 수 있었어요. 여러분도 대단한 스펙이 아니어도 본인만의 스토리로 풀어낸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면접 분위기와 기억나는 주요 질문은 🦜

면접은 CJ ENM 라운지에서 다대다 면접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약 30분가량 진행되었으며, 다른 지원자와 돌아가며 답변하는 형식이었습니다. 엄숙한 분위기는 아니었고 가볍게 진행되었어요! 면접 질문은 크게 인적성을 기반으로 한 질문과 지원서나 포트폴리오 위주의 질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기억나는 주요 질문은 아래와 같아요.
  • 지원자님이 생각하는 좋은 썸네일과 제목이란?
  • 유튜브 콘텐츠 분석 경험
  • 유튜브 제작진 활동 시 어려웠던 점 / 가장 기억에 남는 콘텐츠와 그 이유
    + 지원서에 작성한 답변 관련 질문
  • 본인의 장단점
  • 협업 시 본인의 스타일
  • 갈등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하는지



하루 업무를 시간대별로 소개해 보면 💡

출퇴근 시간과 하루 업무 루틴을 간단히 소개해 주세요. 업무 루틴은 아래와 같이 시간대별로 알려주세요.  

  • 출근 직후 (오전 10시 - 오후 12시): 커뮤니티 리서치 및 당일 발행 건 업로드
  • 오후 12시 - 오후 1시 30분 : 점심시간🍴
  • 오후 1시 30분 - 오후 2시 30분 : 콘텐츠 분석 회의
  • 오후 2시 30분 - 오후 7시 : tvN 드라마, 예능 영상 클립 제목 및 메타 작성 후 업로드 + 콘텐츠 분석 및 기획안 작성 (회의 준비), 유튜브 커뮤니티 발행

🌙 야근은?
에디터에게는 야근을 시키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저 또한 부득이하게 바쁜 날 2번을 제외하고는 야근을 한 경험이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도 팀장님께서 1-2시간 늦게 퇴근한 만큼, 다음번에 일찍 퇴근하도록 안내해 주셨습니다. 



좋았던 점, 가장 성장한 부분은 🚀


덕업 일치라고 하죠! 평소 좋아하던 예능과 드라마를 보면서 일하는 것이 가장 좋았습니다. 업무를 위해서 어쩔 수 없이 계속 콘텐츠를 봐야 하는데요, 그러다 보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쉬고 있다는 생각이 종종 들었습니다. 또한 제가 기획하고 작성한 결과물이 tvN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간다는 점도 일하는데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조회 수가 잘 나오고, 댓글에 칭찬이 있으면 엄청 뿌듯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콘텐츠를 바라보는 시각을 키울 수 있었다는 점에서 가장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단순한 추측이 아닌,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의 중요성을 깨달았고 실제로 콘텐츠 반응을 수치로 해석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분석력을 키울 수 있었어요. 또 회의를 위한 스터디를 진행하며 자연스럽게 발표 스킬도 함께 향상되었습니다. 비슷한 또래들과 편하게 의견을 주고받으며 방송업계에 대한 다양한 시선도 배울 수 있었고, 에디터님들의 꿀팁이나 조언, 마니또나 팀 점심 회식 등 세심한 배려 덕분에 더욱 즐겁게 일할 수 있었습니다.


힘들었거나 기대와 달랐던 점은 🤔

아무래도 tvN의 공식 계정을 다루는 업무이다 보니, 혹여나 내가 실수를 한다면 일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초반에는 부담이 되고 심적으로 힘들었습니다. 또한 유튜브 콘텐츠는 보통 예약 발행을 통해 사전에 업로드해 두는 형식이라, 설날과 같은 긴 연휴가 있을 때 업무가 몰리는 경우가 있어 연휴 직전에는 조금 바쁜 편입니다.

또한 매주 분석을 바탕으로 기획 회의를 진행했지만, 그 내용이 항상 콘텐츠에 반영되지는 않았습니다. 제작사 측의 조건과 기존 가이드라인을 반드시 거쳐야 했기에, 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펼치고 실행해 볼 수 있는 기회는 제한적이었어요.



직접 경험한 근무 환경과 기업 문화는? 👀


대기업인 만큼 전반적인 복지나 근무 환경이 잘 갖춰져 있었어요. 점심시간이 넉넉하고, 주변 인프라도 좋아 점심시간에 산책하기도 좋았어요. 직급에 상관없이 모두가 서로 높임말을 쓰는 문화였습니다. 유튜브 채널 관련 부서의 경우, 주로 면대 면보다는 업무용 메신저로 소통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전체적으로 비교적 젊은 나이대가 많아 분위기도 캐주얼한 편이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정규직 못지않게 계약직 인원이 많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또, 별도로 돈을 내고 먹어야 했지만, 구내식당도 정말 맛있었습니다. 연차 사용은 자유로운 편이었고, 야근을 하게 되는 경우도 거의 없었습니다.




이런 사람에게 추천 👍
  • 드라마와 예능을 사랑하는 사람
    하루 종일 좋아하는 콘텐츠와 함께할 수 있어요!

  • 방송국이나 유튜브 쪽 직군을 희망하는 사람 
    업계 분위기와 실제 시스템을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에게 비추천 👎
  • 기획이나 연출까지 직접 경험하고 싶은 사람
    주로 기존 오리지널 콘텐츠를 재가공하는 일이어서, 기획·연출 업무는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 자신의 아이디어를 마음껏 펼쳐 무언가를 만들고 싶은 사람 
    대부분 지시받은 업무를 정해진 포맷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기획은 어려운 편입니다.



#방송국#인턴#대학생#tvN#티비엔
댓글 0
닉네임
비슷한 기사 더 보기